본문 바로가기


이수임/창가의 선인장
2025.04.10 11:40

(739) 이수임: 작은 것이 아름답다

조회 수 45 댓글 1

창가의 선인장 (152) 

 

small is beautiful

 

sooim lee, The faceless woman, 2025, Digital painting.jpg

Sooim Lee, The faceless woman, 2025, Digital painting

 

나는 키 크고 덩치 큰 남자를 좋아하지 않는다. 물론 그들도 작은 나를 싫어하겠지만, 키 작은 우리 친정아버지도 나와 같았다. 친정 언니가 결혼 한다고 데려온 남자는 키도 컸지만 덩치가 너무 컸다. 그를 올려다보며 인상 쓰던 아버지 얼굴이 또렷하게 기억난다. 

 

작은 키로 험난한 세상을 단단히 버티고 있는 자신을 내려다보는 키 큰 남자의 시선이 아버지의 자존심을 건드렸던 건 아닐까? 사람 됨됨이도 보지 않고 무조건 키 큰 사람이 싫어지는 심리를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았는지 모르겠다. 사람이 너무 크면 내가 숨 쉴 공간이 좁아지는 느낌이다. 나를 짓누르는 듯한 압박감으로 자리를 뜨고 싶다.

 

나는 길가에 핀 크고 화려한 꽃보다는 앙증맞은 작고 소박한 꽃들을 좋아한다. 화려한 꽃은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받는다. 있는 듯 없는 듯 핀 작은 꽃들은 누군가의 손길을 기다리는 듯 애처롭다. 작은 것을 보면 마음이 뭉클해지면서 애착을 느끼고 가까이 다가가고 싶다. 큰 것은 그냥 스쳐도 작은 것을 보면 지나치지 않고 멈춰서서 자세히 살피며 말을 걸고 싶은 심리는 아마 동병상련 때문일 것이다. 

 

난 굵은 선보다 가는 선을 좋아한다. 그래서였을까? 판화 중에서 가는 선을 기본 기법으로 화면을 만들어 가는 동판화를 전공했다. 나의 작은 손으로 가는 선이 그어질 때 희열을 느낀다. 작은 캔버스 위에 그릴 때 더 집중하고 파고들어 내 마음을 전달하면 애정 어린 작업이 나온다. 작고 가는 선으로 만들어진 내 작품은 거창한 장소에 걸리는 것보다는 화장실 가는 통로라던가 복도 끝 벽에 걸리면 작품은 제자리를 찾은 듯 차분해진다. 볼일 보러 가면서 본 듯 만 듯 스치거나 긴 좁은 복도를 지날 때 누군가가 슬쩍 봐주면 제자리를 조용히 지키던 그림은 밝은 표정으로 반긴다. 

 

내 이름 영어는 전부 소문자 sooim lee 다. 얼마 전 갤러리에서 만난 여자로부터 ‘이름을 왜 소문자로만 쓰느냐? 는 질문을 받았다. 그전에도 서너 번 내 이름을 잘못 기재한 것이 아닌가?’라는 질문도 받았다. 대문자보다는 소문자를 선호해서다. 있는듯 없는듯 존재하지 않는 작은 모습인 나에 대한 합리화인 것 같다.

 

 

이수임/화가

서울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서양화 전공으로 학사, 석사학위를 받았다. 1981년 미국으로 이주, 뉴욕대에서 판화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84년 대학 동기동창인 화가 이일(IL LEE)씨와 결혼, 두 아들을 낳고 브루클린 그린포인트에서 작업하다 맨해튼으로 이주했다. 2008년부터 뉴욕중앙일보에 칼럼을 기고해왔다.  

https://sooimlee3.blogspot.com 

 

 

 

?
  • sukie 2025.04.11 09:24
    작은 것이 아름답다를 아무 부담없이 잘읽었습니다.
    맞아요. 작은 여자는 아름답고 아담해요. 야무지게 보이고, 자기만 챙기는 느낌이 들어요.
    키 크고 덩치가 큰 동양여자일 경우는 매력이 없어요. 한가지 그들에게서는 그늘이 있음을 알아요.
    발레리나와 농구선수를 떠올려 봤습니다. 정반대의 느낌을 가졌습니다. 발레리나의 작은 몸에서는 향기가 나는듯 해요.그늘같은 건 생각도 나지않아요. 반면에 농구선수들의 육체에서는 투박하지만 풋풋한 들꽃 내음을 느낌니다.
    이수임 작가는 항상 꾸밈없는 글을 써주셔서 좋아요가 저절로 나옵니다.
    -Ela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