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



서도호(Do Ho Suh) 작가 아트선재 서울, 휴스턴미술관 전시

sonjae.jpg
 
서도호: 스페큘레이션스
2024. 8. 17.–11. 3. @아트선재센터, 서울
 
집으로 대표되는 시간, 공간, 기억 등을 탐구해온 서도호 작가가 2024년 8월 17일부터 11월 3일까지 아트선재센터에서 개인전 '스페큘레이션(speccuation)'을 연다. ‘스페큘레이션’은 개인과 공동체,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서도호의 숙고와 가설, 상상력의 작동 방식을 함축한다. 작가는 자신의 창작 활동을 ‘스페큘레이션 과정’이라고 설명하며 정서적인 동시에 육체적인 삶의 복합적인 특성에 접근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다양한 이야기로 풀어낸다. 
 
서도호는 자신이 실제 거주했던 집이나 작업실 공간을 천으로 구현해 장소 미술의 이동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단단한 물질을 재료로 삼아 특정한 장소에 고정되는 조각들과 달리 빛이 투과되는 성질의 천으로 만든 서도호의 집은 어디로든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스페큘레이션스'는 우화적 스토리텔링으로 현실과 환상을 넘나드는 서도호의 작업을 통해 동시대적 삶에 대한 시적인 성찰을 불러일으긴다. 
 
인간과 환경의 변화하는 관계 속에 제기되는 위기와 도전을 사변적 사유로 대응하며, 정서적이고 육체적인 삶의 복합성에 접근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찾는다. 이 전시는 서도호가 펼치는 사유의 여정을 따라 물리적 현실과 개념적 상상의 경계를 오가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나아가 교차하는 문화와 초국가적 삶의 조건, 지속 가능한 미래의 시공간을 유추하며 지구에 도래할 대안적 세계를 함께 구상해 보기를 제안한다. https://artsonje.org 
 
 
houston.jpg
Do Ho Suh, Portal, 2015, acrylic resin, the Museum of Fine Arts, Houston, Museum commission funded by the Caroline Wiess Law Accessions Endowment Fund and gift of the artist. © 2015 Do Ho Suh
 
 
Do Ho Suh’s “Portal”
 
2024, Ongoing 
The Museum of Fine Arts, Houston
 
한편, 서도호 작가는 텍사스주 휴스턴미술관(Museum of Fine Arts, Houston)에 'Portal'을 전시 중이다. 작가가 거주했던 서울의 한옥과 뉴욕의 아파트를 비단으로 만들어 설치한 작업은 전 지구적으로 확장되는 문화의 이동과 차이 그리고 충돌을 개인적인 경험에서부터 공동체적인 기억으로 확장한다. 건축과 도시, 공간과 환경으로 확장되는 그의 작업은 현실세계와 가상세계 모두에서 점차 혼종적으로 확산되는 동시대적 삶에 시적인 성찰을 불러일으킨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The Museum of Fine Arts, Houston: Nancy and Rich Kinder Building (5500 Main St.), Houston, TX 77004
https://www.mfah.org 
 
 
이민자는 누구이며, 집은 무엇인가?

서도호 Do Ho Suh

Do Ho Suh-02-350.jpg
서도호

 

*이 인터뷰는 2011년 9월 27일 뉴욕 중앙일보에 게재된 것을 보완한 기사입니다.

 


우리의 집 안엔 또 다른 집이 있을까?
10월 22일까지 첼시의 레만모핀갤러리(540 West 26th St.)에서 열리는 설치작가 서도호씨의 개인전 ‘집 안의 집(Home Within Home)’ 전시를 둘러보노라면, 스스로에게 이런 질문을 던지게될 것이다.

 

 

211536440-600.jpg

서씨가 살던 프로비던스 타운하우스를 1/5로 축소한 `떨어진 별 1/5'(Fallen Star 1/5)엔 아파트 6채의 내부가 디테일하게 담겨있다. Courtesy the artist and Lehmann Maupin Gallery, New York.

 

전시의 메인 작품인 ‘떨어진 별 1/5(Fallen Star 1/5)’은 타운하우스 3층/6유닛을 절반으로 잘라 1:5로 축소 제작한 미니어처 설치작이다.

 

한국의 탈, 체게바라의 초상화, 록그룹 AC/DC 포스터, 자전거, 크레용과 도화지, 치즈와 와인까지 온갖 디테일이 담긴 6개 가구의 ‘장난감 도시’같은 인테리어는 관람객을 관음증에 빠지도록 유혹한다. 반전이라고나 할까. 타운하우스를 돌아서면, 모서리에 낙하산을 타고 외계에서 날아온듯한 한옥이 박혀있다.

 

 

211551962.jpg

`떨어진 별 1/5'(Fallen Star 1/5) 전면엔 서씨가 살던 서울 한옥집이 날아와 박혀있다. 부친 서세옥 화백이 인간문화재 도편수씨와 창덕궁 내 연경당 사랑채를 모델로 지었다고 한다. Courtesy the artist and Lehmann Maupin Gallery, New York.


타운하우스는 서씨가 1991년 미국으로 이주, 로드아일랜드 프로비던스에서 살던 곳이며, 한옥은 그가 70년대 서울 성북동에서 살던 집이다. 


서도호씨에게 ‘떨어진 별’은 단순한 집이 아니다.

이민의 체험과 문화 충격이 고스란히 담긴 서씨의 자화상이기도 하다. 글로벌 시대 미국-유럽-한국을 오가며 작업하는 작가에게 집은 무엇인가?

 

천국보다 낯설은

 

204358429.jpg 

-제목 ‘떨어진 별’은 무슨 의미인가.
“외계에서 떨어진 별을 의미한다. 별은 우주/외계에 있는 것이다. 전혀 다른 세계에서 또 다른 세계로 갑자기 전이(displacement)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그런 제목을 지었다.”

-이 작품을 착상한 계기는.
“한국을 떠나 미국으로 이주한 경험, 그 여정과 낯설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했던 몸부림 등에서 이런 작품이 나오게 됐다.”

-2009년 6월 LA카운티뮤지엄(LACMA)에서 열린 ‘당신의 밝은 미래: 한국현대미술가 12인’전에 소개한 ‘떨어진 별’과 차이가 있나.
“2008년 이 작품을 시작했으며, LACMA 전시 이후에도 계속 작품 안에 물건을 덧붙여왔다. 내년까지는 계속 진행될 것 같다.”

(한옥과 프로비던스 타운하우스의 충돌은 동과 서, 전통과 현재의 만남이다. 거시적인 풍경과 미세한 관점의 절묘한 대조, 이질적인 것의 만남에서 온 상처와 축제의 어우러짐. 아파트 각 내면의 풍경은 연극 무대 같으며, 관람자는 거주자의 성격을 그려보게 된다.)

 

 

suh.jpg  

-작품의 앵글이 마치 신의 관점처럼 보이는데.
“신은 아니고, 내 인생의 과거, 현재, 미래를 돌이켜 보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각 6개 아파트의 거주자는 상상에서 나왔나.
“내가 그 집에 살 때 방문했던 유닛이 3개인데 당시 기억을 되살려 작업했다. 나머지는 상상과 이 작업을 하기위해 건물을 실측하러 갔을 때 방문했던 유닛들을 재현했다.”

 

 

서도호-Suh-Fallen_Star_(LMG_2011)_01_hr.JPG 

-부서진 아파트는 누구의 집인가.
“내가 살던 유닛이다.”

-이 전시에 대한 흥미로운 반응은.
“한 미술계 인사가 3개의 개인전을 한번에 본 것 같다고 했다.”

 

천으로 만든 집

 

17002121.jpg 

교복, 군복이라는 의복은 개성을 말살하는 대신 통제를 쉽게 해준다. Uni-Form/s: Self Portait/s: My 39 Years, 2006


서도호씨는 교복문화와 군사문화를 체험한 세대다. 그는 고교생 4만여명의 앨범사진 설치작 ‘Who Am We?’(1996/2002) ‘유니-폼(Uni-Forms/Self-Portraits: My 39 Years, 2006)’ 등에서 그는 전체주의 사회와 그에 의해 말살된 정체성을 탐구했다.

 

반면, ‘네트워크(Net-Work, 2010)’와 ‘카르마(2010)’는 하이테크시대 페이스북과 마이스페이스 등 소셜 미디어 시대에 대한 서씨의 입장이 아닐까.

 

 

uni-face-boy1.jpg

 획일화된 사회에서 몰개성의 학생상. High School Uni-face, 1997



그의 화두는 집이다. 

실크 설치작 ‘서울 집/LA 집(1999)’와 실크와 반투명 나일론 설치작 ‘완벽한 집(The Perfect Home)’에서 ‘떨어진 별 1/5’(2008-2011)까지 자전적인 집 이야기를 계속해오고 있다.

 

‘떨어진 별 1/5’의 한옥은 부친 서세옥 화백이 순조대왕이 창경궁 내 지은 선비의 집 ‘연경당’의 사랑채를 본따서 지은 집이라고 한다.
 

 

photo 1(41).JPG 

브루클린뮤지엄에 전시 중인 'Seoul Home/LA Home, Bathroom', 2006

 

 IMG_9026.JPG  IMG_9027.JPG 
Detail


-왜 집에 집착하나.
“집은 인생에 대한 메타포다.”

-연경당 사랑채는 본인에게 어떤 메타포인가.
“시공을 단축해서 순조대왕, 서세옥, 서도호를 연결하는 매개체다.”

-글로벌시대 각종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현대인들이 유목민처럼 살고 있다. 집이 미술가로서의 정체성과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
“인생을 여러 종류의 공간을 통과하는 경험을 통해서 산다고 생각한다. 살면서 살아온 집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렇게 느껴진다. 끝없는 여정 중에 거쳐가는 그런 공간들이다.”

 

 

dohosuh12-g.jpg

Cause and Effect, 2007, Installation at the Lehmann Maupin Gallery, New York


-리처드 세라나 이우환 등 작가들과 비교하면, 당신의 작품은 노동집약적이다. 작업의 방식은.
“리처드 세라의 작품과 이우환 선생님의 작품은 많이 다르다고 생각한다. 리처드 세라의 작업은 많은 공정을 거치게 된다. 스케일도 엄청 크다. 나의 경우는 내 생각을 시각화하다 보니 사람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이 되었다.

 

작업은 뉴욕·서울·런던에서 하며 작품 성격에 따라 각각 다른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진다. 고도의 손재주를 요하는 천 작업이나 모형 작업은 서울에서, 첨단기술을 이용한 큰 스케일의 작업은 미국의 전문 회사들과 같이 작업한다. 그리고, 런던에서는 주로 구상과 드로잉을 한다.”

 

dohosuh14-detail.jpg  dohosuh13-detail.jpg
Detail


-9/11 이 작품에 영향을 주었나.
“업과 인과관계에 대해 많이 생각하게 됐다.”

 

서세옥-서도호, 부전자전 화가


-아버지 서세옥 화백의 영향이 있다면.
“예술을 사랑하는 가정 환경, 그리고 주변에 높은 안목으로 모으신 아름다운 미술품들과 한옥에서 내가 자랄 수 있도록 환경을 마련해주신 것이 큰 영향이었던 것 같다.”

 

 Do Ho Suh-01-500.jpg 
서도호


-아버지가 롤 모델이었나.
“어릴 적엔 내가 미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버님을 롤모델이라고 생각치는 않았다. 다만 주변의 친구들 아버지들과는 너무 다른 삶을 사셨기 때문에 그점이 나는 참 좋았다. 학교 다닐 때 항상 할 이야기가 많았다.”

-서울대 동양화과 석사학위까지 받은 후 미국에 왔다. 예일대에선 회화를 전공한 후 로드아일랜드디자인스쿨(RISD)에서 조각으로 바꾸었다. 전공을 계속 바꾸게 된 계기라면.
“자연스럽게 평면에서 입체/설치로 옮겨가게 된 셈이다. 무언가 문제를 찾아서 그것을 부딪치며 해결해나가는데 더 흥미를 갖게 됐다. 회화는 하루종일 화실에서 혼자 그림을 그려야하지 않은가.”

-작품의 영감은 어디서 오나.
“중구난방이다. 주로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생각에서 나온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번뜻 생길 수도 있다.”

 

Do Ho Suh-SomeOne-2004.jpg  Suh, Do-Ho-EXHIBITIONMetal Jacket 1 hr.jpg
 집합성의 파워, 스펙터클한 의상. 군번 두루마기 조각 Some/One, 2001


-미국에 온지 20년째다. 작가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남들이 뭐라해도 포기하지 않고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쉬운 이야기 같은데 의외로 지키기 어려운 일인 것 같다.”

-수년 전 중국 작가들의 광풍이 불었다. 최근엔 국제적으로 상당히 인정을 받는 한인 미술가들이 많아졌다. 한국작가들과 중국작가들의 차별화되는 점은.
“중국미술은 외형이 커진 중국의 경제와 위상에 의해 급속히 부풀려진 경향이 없지 않다. 서양에서 부추긴 경향도 있다. 좋은 작가도 많지만 좀 더 시간이 필요로 할 것 같다. ‘중국미술 보러 갔다가 한국미술을 제대로 발견하게 됬다’는 이야기를 외국에서 많이 듣는다. 한국작가들은 그간 겪은 것들이 많다. 중국에 비해 소재도 다양하고, 그것을 다루는 방법론도 좀더 세련되고 깊이가 있어 보인다. 어디까지나 내 생각이지만.” 

 

서도호-문1.jpg
Reflection, 2005

☞서도호 Do Ho Suh 

1962년 서울에서 서세옥 화백의 장남으로 태어나 서울대학교 동양화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군 제대 후 1991년 미국으로 이주, 로드아일랜드디자인스쿨(RISD)에서 회화로 학사학위, 예일대학교에서 조각을 전공해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1년 베니스비엔날레에 한국관 대표로 초대되어 군번 두루마기 설치작 ‘Some/One’을 전시했다. 2009년 LA카운티뮤지엄(LACMA)에서 열린 ‘당신의 밝은 미래: 한국의 현대 미술가 12인’에 참가했으며, 지난해엔 베니스비엔날레 건축전 본 전시에 동생인 건축가 서을호씨와 함께 뉴욕 타운하우스 설치작 ‘청사진’을 선보였다.

박숙희 문화전문기자

 

TAG •
?
  • sukie 2024.08.18 12:10
    설치 작가 서도호의 작품과 작품세계를 잘읽었습니다. 어리둥절해졌습니다. 비단으로 만든 집이 있다가, 건물 사이로 한옥이 끼어들면서 튀어나오고 투명한 기둥이 있는가 하면 멋진 건물이 들어서고-현실과 환상을 넘나드는 설치작들이 머리를 혼란스럽게 합니다. 미술의 영역이 너무 광범위하게 나아가니까, 설치 작품을 이해하는데 힘이 드네요.
    서도호씨의 작품은 감탄을 자아냅니다. 그러나 평온함보다는 머리가 어지러워지는 느낌입니다. 왜 그럴까? 생각했습니다.
    -Ela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