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728)
- 강익중/詩 아닌 詩(83)
- 김미경/서촌 오후 4시(13)
- 김원숙/이야기하는 붓(5)
- 김호봉/Memory(10)
- 김희자/바람의 메시지(30)
- 남광우/일할 수 있는 행복(3)
- 마종일/대나무 숲(6)
- 박준/사람과 사막(9)
- 스테파니 S. 리/흔들리며 피는 꽃(49)
- 연사숙/동촌의 꿈(6)
- 이수임/창가의 선인장(149)
- 이영주/뉴욕 촌뜨기의 일기(65)
- June Korea/잊혀져 갈 것들을 기억하는 방법(12)
- 한혜진/에피소드&오브제(23)
- 필 황/택시 블루스(12)
- 허병렬/은총의 교실(101)
- 홍영혜/빨간 등대(70)
- 박숙희/수다만리(66)
- 사랑방(16)
(705) 허병렬: 인생이라는 놀이터에서
은총의 교실 (97) Life is a Playground
인생이라는 놀이터에서
Photo: United Colors of Benetton
"까치 까치 까치는 / 누구하고 노나/ 까치 까치 까치는/ 까치하고/ 놀지."
이것은 1973년 5월 5일 뉴욕한국학교 개교식에서 부른 노래이다. 본래는 '꾀꼴 꾀꼴이'로 되어 있는 노래말을 길조인 까치로 바꿔서 부르게 했다.
학교의 교육 목표 달성을 기원하는 마음을 담기에 적당한 노래로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당시는 한국사람끼리 모여서 한국식으로 미국을 사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보았다. 또 '뭉치면 산다'는 말도 생각났다. 한국 학생들을 모아놓고 한국의 자랑스러움을 알려서 자긍심을 가지게 하는 일은 큰 뜻이 있겠다. 그러나, 우리는 미국에 살고 있다. 필요한 언어는 영어이다. 한국말을 가르치면 그 말을 어디서 쓰겠으며, 그것 때문에 귀중한 에너지가 분산되고, 학생들의 마음에 갈등이 생긴다 등등의 반대를 물리치기 힘들어서 하나의 제안을 하였다. 우리는 시험기간을 가지자. 10년 동안 한국문화 교육을 실시해 보고 다시 생각하자. 그동안은 찬부의 토론을 자제하자. 이것이 바로 어설픈 동포사회에서 한국한교 탄생의 기반이 되었다. 그 학교가 이만큼 자랐다.
인생을 '놀이판'으로 볼 수 있을까. 한 판 잘 놀고 하늘로 돌아간다는 뜻을 가진(*귀천/ 歸天) 어느 시인(*천상병)의 시구가 떠오른다. '살다'는 목숨을 이어간다는 뜻이고, '놀다'는 어떤 놀이를 하여 승부를 가린다는 것이다. 그래서 '살다'를 '놀다'로 표현하여도 자연스럽게 느껴진다. '놀다'는 즐거운 살맛을 주는 묘약의 효력이 있다. 하지만 놀이에는 상대방이 되는 친구가 있어야 한다. 그 친구는 많으면 더 좋고, 다양하면 더 즐겁다. 그런 친구들을 구할 수 있는 곳이 바로 이민생활이다.
Photo: United Colors of Benetton
다양한 친구가 있는 넓은 세계에 왔다. 나는 여기서 자유로이 헤엄을 치면서 많은 친구와 사귀겠다고 한들 조건이 있다. 친구가 된다는 것은 쌍방이 서로 끌어야 가능하다. 일방적인 욕구는 우정을 키울 수 없다. 상대방이 나에 대한 흥미, 이해, 사랑을 느끼게 하려면 내가 가진 것이 있어야 한다. 내가 가진 것이 제 것과 다를 때 그들은 흥미를 가지고 가까이 온다.
우리는 서방문화와 다른 한국문화를 가지고 있다. 한국문화는 반만년의 긴 역사가 흐르면서 잘 익었다. 잘 숙성하였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의 눈길을 끌 수 있다. 바로 이것이 내 소유물이 되지 않는다면 내 친구를 구하기 힘들다. 한국 2세들이 한국어, 한국문화를 지니지 않고는 많은 참다운 친구를 구하기가 힘들게 된다. 또한 가장 중요한 것은 이것이 없으면 자기 자신의 정체성 확립에 혼돈이 생긴다는 점이다.
세상과 사람의 마음은 시시각각 변하고 있다. 변화는 영원하다. 한국학교도 변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학생, 학부모, 교사들이 변하고 있다. 학생은 다양해지고, 한국을 잘 모르는 2세 학부모와 교사들이 늘고 있다. 여기에 따라 교과과정과 교육방법이 변해간다. '까치끼리만 놀자'던 노래말도 바ㅝ야 한다. '누구하고나 놀자'로. 친구를 가려서 사귄다면 제한된 자기 자신의 확대를 뜻한다. 무한대로 자기 자신을 확대하고 싶으면 다양한 친구를 사귀는 것이 그 길이다. 한국문화를 지녔다는 자기의 특색을 가지고 친구를 넓게 사귀면서 인류문화에 공헌하는 길이 열려 있다. 이것이 한국학교의 교육이념이다.
"까만 눈도/ 파란 눈도/ 사과를 보며/ 책을 읽는다/ 낮은 코도/ 높은 코도/ 향내를 맡으며/ 푸른 공기를 마신다/ 까만 머리도/ 노란 머리도/ 길게 자라며/ 바람에 나부낀다/ 노란 손도/ 갈색 손도/ 손가락이 다섯이며/ 만지면 따뜻하다/ 노란 마음도/ 하얀 마음도/ 갈색 마음도. 서로서로 맞닿으면/ 뜨거운 사랑을 안다/ 우리들은 자란다/ 같은 시대에/ 같은 지구에서."
이 동시는 필자의 것이며, 제목은 '같은 지구에서'이다.
허병렬 (Grace B. Huh, 許昞烈)/뉴욕한국학교 이사장
1926년 서울에서 태어나 경성여자사범학교 본과 졸업 후 동국대학교 국문학과 졸업. 1960년 조지 피바디 티처스칼리지(테네시주)에서 학사, 1969년 뱅크스트릿 에듀케이션칼리지에서 석사학위를 받음. 서울사대부속초등학교, 이화여대 부속 초등학교 교사를 거쳐 1967년부터 뉴욕한인교회 한글학교 교사, 컬럼비아대 한국어과 강사, 퀸즈칼리지(CUNY) 한국어과 강사, 1973년부터 2009년까지 뉴욕한국학교 교장직을 맡았다. '한인교육연구' (재미한인학교협의회 발행) 편집인, 어린이 뮤지컬 '흥부와 놀부'(1981) '심청 뉴욕에 오다'(1998) '나무꾼과 선녀'(2005) 제작, 극본, 연출로 공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