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7 댓글 0

동서고금 (東西古今), 한국에 대한 시선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한류까지

 

*Voices Behind the Korean Wave: From East and West, Past and Present 

From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to "The Korean Wave"  <English page>

https://www.nyculturebeat.com/?mid=TopStory2&document_srl=4147788

 

 

0JIMG_0952.jpg

 

BTS, 영화 '기생충',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세계를 뒤흔들기 오래 전, 이미 100여 년 전부터 한국 문화를 찬탄한 외국인들의 목소리가 있었습니다.

 

19세기 말 조선을 방문한 선교사, 박물관 큐레이터, 독일인 신부, 스코틀랜드 화가, 그리고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펄 벅까지—이들은 저마다의 시선으로 한글, 갓, 윷놀이, 짚신, 그리고 빨래터 풍경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섬세하고 깊이 있는 문화를 발견하고 기록했습니다. 그들의 눈에 비친 조선은 단순한 동양의 한 나라가 아니라, 전통과 창의성, 공동체 정신이 살아 숨 쉬는 ‘고요한 아침의 나라’였습니다.

 

그리고 지금, K-Pop, K-Drama, K-Cinema를 넘어 K-클래식, K-오페라, K-발레, K-북, K-푸드, K-골프, K-뷰티, K-게임까지—한류는 문화의 스펙트럼을 넓혀가며, 세계인들의 감각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한국인은 누구이며, 이러한 문화적 에너지는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요?

 

곧 출간될 '33 Keys to Understanding the Korean Wave: Beyond BTS, Parasite and Squid Game'은 한국인의 정체성과 문화의 뿌리, 줄기, 그리고 열매를 탐색하는 여정을 담고 있습니다. 2023년 6월 한국에서 먼저 출간된 '한류를 이해하는 33가지 코드'의 영문 확장판으로 세계 독자들을 위한 새로운 관점과 업데이트를 더했습니다.

 

출간에 앞서 이 책에 인용된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목소리를 한데 모아 소개합니다. 

 

한류의 뿌리를 되짚어보는 이 여정이 오늘날 ‘문화강국’ 대한민국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OJIMG_0950.jpg

 

개화기-근대의 서양인들

 

"게르만족이 아직 숲에서 뛰어놀던 시절, 조선은 이미 고도로 문명화된 나라였고, 독일보다 훨씬 먼저 인쇄기를 발명했다."

-노르베르트 베버,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1927)

 

"특히 '모자의 나라' 한국에서 모자는 존중받는 존재다. 모자의 종류가 무궁무진하다는 것을 금방 알아차릴 수 있는데, 이는 예상치 못한 발견이었다."

-퍼시벌 로웰, '조선: 고요한 아침의 나라' (1888)

 

"시냇물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심지어 우물가에서도 빨래를 한다… 겨울에는 얼음을 깨서 이 춥고도 불쾌한 일을 한다. 모두가 흰 옷을 입기 때문에 빨래는 매우 필수적인 일이 된다."

-호레이스 뉴턴 알렌, '한국 이야기' (1889)

 

"한국의 놀이 윷놀이는 전 세계에 존재하는 수많은 놀이의 원형으로 여겨질 수 있다."

-스튜어트 컬린, '한국의 게임' (1895)

 

"한국어는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영어 알파벳을 능가한다."

-호머 헐버트, 미국 선교사 (1903)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간단한 문자 체계이다.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면 어떤 언어와 소리든 쓸 수 있다. 세종은 다재다능한 한국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다."

-펄 S. 벅, 노벨상 수상 소설가 (1938)

 

 

0JIMG_0968.jpg

 

현대 한국과 한류

 

"한국인이 미국인들에게: 대통령 탄핵하는 법을 가르쳐 드리겠습니다."

-워싱턴 포스트, 2017

 

"지난 20년 동안 700명의 한국인이 국제 음악 경연대회 결승에 진출했고, 그중 110명이 우승했다."

-티어리 롤로, 'K-클래식 제너레이션' (2020)

 

"양궁: 젓가락과 김치, 성공의 열쇠? 이름은 바뀌고, 올림픽은 바뀌지만 화살은 결코 흔들리지 않는다. 한국 여자양궁 대표팀이 다시 한번 올림픽 챔피언이 되었다." 

-로이터 통신, 2012

 

 

0JIMG_0975.jpg

 

"삼성과 LG를 필두로 제조업의 물결이 먼저 불었다. 그 다음에는 K팝 스타들이 등장했고, 이들의 편재는 싸이로 인해 유감스럽게도 정점에 달했다. 이제 한국에서 수입된 최신 제품들이 등장했다. 바로 어마어마한 화장품들이다."

-뉴욕타임스, 2014

 

"K-뷰티는 혁신 측면에서 세계 다른 나라들보다 최소 7년은 앞서 있다."

-Marie Claire, 2016

 

"한국인의 멈출 수 없는 서두름: 빨리빨리 성향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인터넷 속도, 거의 즉각적인 효과를 약속하는 집중적인 어학 수업, 그리고 인기 있는 스피드 데이팅 행사에서 드러난다."

-BBC, 2018

 

 

0JIMG_0941.jpg

 

"가장 강력한 한국인 DNA는 효율성이다. '빨리, 빨리!' 이것이 이민자들의 성공 비결이다."

-주사라 리, 패션 디자이너 (2012)

 

"눈치는 5천 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인의 초능력이다."

-Euny Hong, The Power of Nunchi (2019)

 

"한국인들은 지구상에서 가장 엄격한 사람들이다... 누군가 그들에게 무언가를 하라고 하면, 그들은 그저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완벽하게, 그리고 열정적으로 실행한다."

-브라이언 모그, PGA 코치, 2016

 

"봉준호 감독의 디스토피아. 우리는 그저 그 안에 살고 있을 뿐이다."

-뉴욕 타임스, 2019

 

 

0JIMG_0972.jpg

 

한식과 일상

 

"한국에 비빔밥 정신이 있다면 멀티미디어 시대에도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백남준, 비디오 아티스트 (1967)

 

"나의 모든 것은 김치에서 비롯되었다."

-로이 최, 셰프, 2013

 

"쌈장의 맛은 모모푸쿠 DNA의 일부입니다."

-데이빗 장, 셰프, 2018

 

"프랑스와 영국은 소고기 부위를 35가지로, 보디족은 51가지로 구분하는 반면, 한국인은 무려 120가지로 구분한다."

-마가렛릿 미드, 문화인류학자

 

 

0JIMG_0946.jpg

 

"식기 이름이 인체와 연결된 나라는 한국뿐이다."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 2006

 

"이게 바로 이준구의 아큐펀치입니다!"

-무하마드 알리, 권투선수, 1976

 

"브루스 리는 내 펀치를 도와주었고, 나는 그의 킥을 도와주었다. 우리는 서로에게 스승이자 제자였다."

-이준구, 태권도 대사범 

 

"오늘 밤 마실 준비 됐습니다! 내일 아침까지 마시겠습니다!"

-봉준호, 아카데미 시상식 수상 소감, 2020

 

"내게 한가로운 날이란 없습니다. 난 한국인이예요."

-마가렛 조, 코미디언, 2010

 

 

 

 

0JIMG_0925.jpg

33 Keys to Understanding the Korean Wave 

Beyond BTS, Parasite, and Squid Game

(*업데이트 영문판) 

출간 예정!

https://www.nyculturebeat.com/?document_srl=4144410&mid=Focus

 

 

k33-cover.jpg

 

*영문 페이지 <English vers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