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



조회 수 58 댓글 0

The 25 Photos That Defined the Modern Age <1> #1-#8 

세계를 뒤흔든 25컷의 사진작품

인종차별, 불의, 전쟁, 노조, 분신, 체 게바라, 우주 속 지구...

 

Seeing is Believing. 한장의 사진이 세계를 바꿀 수 있다. 

뉴욕타임스 T-매거진 T이 6월 3일자에서 '현대를 정의한 사진 25점(The 25 Photos That Defined the Modern Age)'을 실었다. 넓은 의미로의 현대는 20세기 이후로 두차례의 세계대전에서 냉전시대를 거쳐 글로벌화까지 포함하며, 의학, 교통 및 통신 분야에서 급속한 기술발전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지금 우리는 지구가 한 촌락이 된 시대를 살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현대를 정의한 사진 25점'에서 현대를 1955년 이후로 잡았다. 인권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날 즈음이다. 사진 전문가들로 구성된 선정 위원회는 토론을 통해 1955년 이후 세상을 포착하고, 변화시킨 중요한 사진 25점을 뽑았다. 위원회는 캐나다의 사진가 스탠 더글라스(Stan Douglas, 63), 최근 MoMA에서 개인전을 연 베트남계 사진작가 안-미 레(An-My Lê, 64), MoMA 큐레이터 록사나 마르코치(Roxana Marcoci, 66), 미국인 다큐멘터리 사진가 수잔 마이젤라스(Susan Meiselas, 75), 미국인 사진가 쉬키스(Shikeith, 35), 뉴욕타임스 매거진 T 사진-비디오 에디터 나디아 벨람(Nadia Vellam, 51)으로 구성됐다. 

 

세상을 움직인 사진 25점에는 저명한 사진예술가들 베레니스 아봇(Berenice Abbott), 안셀 아담스(Ansel Adams), 로버트 아담스(Robert Adams), 리처드 아베돈(Richard Avedon), 다우드 베이(Dawoud Bey), 앙리 카르티에-브레송(Henri Cartier-Bresson), 이모젠 커닝햄(Imogen Cunningham), 로이 드카라바(Roy DeCarava), 윌리엄 이글스톤(William Eggleston), 워커 에반스(Walker Evans), 로버트 메이플토프(Robert Mapplethorpe), 헬무트 뉴튼(Helmut Newton), 그리고 어빙 펜(Irving Penn) 등은 빠졌다. 대신 흑인여성 아티스트 라토야 루비 프레이저(LaToya Ruby Frazier), 캐리 매 윔스(Carrie Mae Weems), 디아나 로슨(Deana Lawson) 등 3인이나 선정된 것은 어쩐지 불균형한 감을 준다. 

 

격동의 현대(Modern Age)를 정의한 사진 25점을 3회로 나누어 연재한다. 

 

 

The 25 Photos That Defined the Modern Age <1> (#1-#8)

 

1robert-frank.jpg

#1. 로버트 프랭크, 뉴올리언스 전차, 1955

Robert Frank, “Trolley-New Orleans,” 1955

 

뉴올리언스의 전차를 타고 있는 사람들. 왼쪽 창으로는 백인 승객 네명이 보이고, 오른쪽으론 두 흑인 승객이 앉아있다. 창 밖을 보고 있는 이들은 1955년 당시 미국의 인종 차별을 고스란히 반영한다. "비관적이며, 분노한 미국의 초상화"라는 평을 받았다. 로버트 프랭크의 '미국인들(The Americans)' 시리즈 중 한점. 

 

*사진작가 로버트 프랭크 다큐멘터리 'Leaving Home, Coming Home: The Portrait of Robert Frank' 필름포럼 개봉, 2019

https://www.nyculturebeat.com/index.php?mid=Film2&document_srl=3813931

 

 

2jackson.jpg

#2. 데이빗 잭슨, 시카고 장례식장에서 에밋 틸의 시신 앞에 서 있는 마미 틸과 진 모블리, 1955

 David Jackson, Mamie Till and Gene Mobley Standing Before the Body of Emmett Till at a Chicago Funeral Home, 1955

 

시카고에 사는 14세의 흑인 소년이 미시시피의 친척집에 갔다가 두 백인 남성들로부터 납치 살해된다. 전원 백인 배심원단은 무죄 평결를 내렸고, 두 가해자들은 LOOK 잡지에 4천불을 받고 범죄를 자백했다. 소년의 시신을 보기 위해 10여만명이 모여들었다. 진실을 포착한 데이빗 잭슨의 사진은 미국내 인종차별을 환기시켰으며, 흑인 인권운동가들을 탄생시켰다. 

 

 

3gordonparks.jpg

#3. 고든 팍스, 백화점, 앨라바마주 모빌, 1956

Gordon Parks, “Department Store, Mobile, Alabama,” 1956

 

1956년 LIFE 잡지의 위임으로 미 남부의 인종분리법(짐 크로우, Jim Crow)의 영향을 기록하러 카메라를 들고 간 고든 팍스(Gordon Parks, 1912-2006)의 작품이다. 백화점 처마에 걸린 '유색인 입구(Colored Entrance)' 네온사인이 당시의 인종차별을 고스란히 반영한다. 우아한 의상의 흑인 모녀와 추악한 표지판이 대조를 이룬다. 그런데, 이 시리즈는 당시 LIFE지에 실리지 않았고, 2012년에서야 고든 팍스의 아트북이 출간되며 세상에 공개됐다. 고든 팍스는 작곡가, 시인이자 영화감독(Shaft, 1971)'이기도 했다. 

 

 

4che.jpg

#4. 알베르토 코르다, 영웅 게릴라 투사(체 게바라), 1960 

Alberto Korda, “Guerrillero Heroico (Che Guevara),” 1960

 

아르헨티나 의학박사에서 쿠바의 쿠테타 정부를 타도하기 위해 혁명에 뛰어들어 게릴라 지도자가 되었다가 39세에 사망한 체 게바라를 사회주의 혁명의 아이콘으로 만든 사진이다. 피델 카스트로가 총애하던 사진작가 알베르토 코르다가 1960년 하바나의 화물선 폭발 희생자 추모 장례식에서 포착한 31세의 체 게바라다. 이 사진은 1967년 체 게바라가 볼리비아군에 의해 살해된 후에야 출판되었고, 베레모를 쓴 혁명가는 전설로 남았다. 

 

 

5-diane.jpg

#5. 디안 아버스, 밀짚모자를 쓰고 전쟁 찬성 행진을 기다리는 소년, 1967

Diane Arbus, “Boy With a Straw Hat Waiting to March in a Pro-War Parade, N.Y.C., 1967”

 

한손엔 성조기를 들고, '하노이 폭파하라'와 '베트남의 소년들을 성원하라, 신이여 미국에 축복을' 뱃지를 달고 있는 소년을 통해 미국의 흑역사였던 월남전의 역사를 보여준다. 

 

*사진작가 디안 아버스와 아웃사이더 dian arbus: in the beginning, The Met Breuer, 2016

https://www.nyculturebeat.com/index.php?mid=Art2&document_srl=3483681

 

 

6monk.jpg

#6. 말콤 브라운, 사이공에서 분신자살하는 틱꽝득 승려, 1963 

Malcolm Browne, the Self-Immolation of the Buddhist Monk Thích Quảng Đức in Saigon, 1963

 

1963년 6월 11일 남베트남 정부의 불교 탄압에 항의하기 위해 틱꽝득(1897-1963) 승려가 사이공의 캄보디아 대사관 앞에서 분신자살을 했다. 이 순간을 AP 기자 말콤 브라운이 포착했고, 퓰리처상(국제보도 부문)을 수상했다. 이 사진은 그해 쿠데타로 암살된 남베트남 응오딘지엠 대통령의 지지가 무너지는 데 일조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불과 몇 주 후에 암살당했고, 후임자인 린든 B. 존슨이 베트남 전쟁을 확대했다. 당시 독신 응오디지엠 대통령의 제수로 퍼스트레이디 역을 맡았던 진려춘(마담 누)은 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틱꽝득의 죽음을 '땡중의 바베큐 쇼'라고 비유해 베트남 국민과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분노를 샀다. 이 발언으로 진려춘은 '드래곤 레이디'라는 악명을 얻었다.

 

 

7-earthrise.jpg

#7. 미항공우주국/ 윌리엄 A. 앤더스, “지구 떠오르다”, 1968

NASA/William A. Anders, “Earthrise,” 1968

 

1968년 크리스마스 이브, 달나라로 간 최초의 유인 우주선 아폴로 8호에 탑승한 3인 중 막내였던 우주비행사 윌리엄 A. 앤더스(William A. Anders)가 달의 지평선 위로 지구가 '떠오르는' 모습을 촬영했다. 전경에 회색의 달 풍경이 있는 반쯤 반사된 지구의 이미지다. '일출(Sunrise)'이 아니라 '지출(Earthrise)'. 당시 윌리엄 A. 앤더스는 달의 분화구, 산, 그리고 지질학적 특징을 카메라에 담는 임무를 맡아, 지구가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포착했다. 

 

 

8-strike.jpg

#8. 어니스트 C. 위더즈, 나는 남자다: 환경미화 노동자 파업, 테네시주 멤피스, 1968  

Ernest C. Withers, “I Am a Man: Sanitation Workers Strike, Memphis, Tennessee,” 1968

 

마틴 루터 킹 목사는 생애 마지막 몇주간 테네시주 멤피스에서 안전한 환경과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파업을 벌였던 흑인 환경미화 노동자들의 시위에 참가했다. 시위대의 팻말에 쓰인 “나는 남자다(I Am a Man)"는 가장 기본적인 사실이 모든 방식으로 무시된 상황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멤피스 출신 흑인 사진기자 어니스트 C. 위더스는 이 사진을 찍은 지 일주일 후인 4월 4일 로레인 모텔 발코니에서 암살당한 킹 목사의 핏자국을 촬영했다.  <계속> 

 
 

*NYT: 현대를 정의한 사진 25점 The 25 Photos That Defined the Modern Age <2> #9-#16

https://www.nyculturebeat.com/index.php?document_srl=4124445&mid=Art2

 

*NYT: 현대를 정의한 사진 25점 The 25 Photos That Defined the Modern Age <3> #17-#25

https://www.nyculturebeat.com/index.php?mid=Art2&document_srl=41244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