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900 댓글 0
조선중앙통신이 25일 보도한 김계관 제1부상의 담화 전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제1부상 김계관은 25일 위임에 따라 다음과 같은 담화를 발표하였다. 

지금 조미(북미)사이에는 세계가 비상한 관심 속에 주시하는 역사적인 수뇌 상봉이 일정에 올라있으며 그 준비사업도 마감단계에서 추진되고 있다. 

수십 년에 걸친 적대와 불신의 관계를 청산하고 조미관계개선의 새로운 이정표를 마련하려는 우리의 진지한 모색과 적극적인 노력들은 내외의 한결같은 공감과 지지를 받고 있다.

그런 가운데 24일 미합중국 트럼프 대통령이 불현듯 이미 기정사실화되어있던 조미(북미) 수뇌상봉을 취소하겠다는 공식입장을 발표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 이유에 대하여 우리 외무성 최선희 부상의 담화내용에 ‘커다란 분노와 노골적인 적대감’이 담겨있기 때문이라고 하면서 오래전부터 계획되어있던 귀중한 만남을 가지는 것이 현시점에서는 적절치 않다고 밝히었다. 

나는 조미(북미)수뇌상봉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표명이 조선반도는 물론 세계의 평화와 안정을 바라는 인류의 염원에 부합되지 않는 결정이라고 단정하고 싶다.

트럼프 대통령이 거론한 ‘커다란 분노와 노골적인 적대감’이라는것은 사실 조미(북미)수뇌상봉을 앞두고 일방적인 핵 폐기를 압박해온 미국 측의 지나친 언행이 불러온 반발에 지나지 않는다.

벌어진 불미스러운 사태는 역사적 뿌리가 깊은 조미(북미) 적대관계의 현 실태가 얼마나 엄중하며 관계개선을 위한 수뇌 상봉이 얼마나 절실히 필요한가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역사적인 조미(북미)수뇌상봉에 대하여 말한다면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시기 그 어느 대통령도 내리지 못한 용단을 내리고 수뇌 상봉이라는 중대사변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데 대하여 의연 내심 높이 평가하여 왔다. 

그런데 돌연 일방적으로 회담취소를 발표한 것은 우리로서는 뜻밖의 일이며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수뇌 상봉에 대한 의지가 부족했는지 아니면 자신감이 없었던 탓인지 그 이유에 대해서는 가늠하기 어려우나 우리는 역사적인 조미(북미) 수뇌 상봉과 회담 그 자체가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의 첫걸음으로서 지역과 세계의 평화와 안전, 두 나라 사이의 관계개선에 의미 있는 출발점이 되리라는 기대를 하고 성의 있는 노력을 다하여왔다. 

또한 ‘트럼프 방식’이라고 하는 것이 쌍방의 우려를 다같이 해소하고 우리의 요구조건에도 부합되며 문제 해결의 실질적 작용을 하는 현명한 방안이 되기를 은근히 기대하기도 하였다.

우리 국무위원회 위원장께서도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면 좋은 시작을 뗄 수 있을 것이라고 하시면서 그를 위한 준비에 모든 노력을 기울여오시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측의 일방적인 회담취소공개는 우리로 하여금 여직껏(여태껏) 기울인 노력과 우리가 새롭게 선택하여 가는 이 길이 과연 옳은가 하는 것을 다시금 생각하게 만들고 있다.

하지만 조선반도와 인류의 평화와 안정을 위하여 모든 것을 다하려는 우리의 목표와 의지에는 변함이 없으며 우리는 항상 대범하고 열린 마음으로 미국 측에 시간과 기회를 줄 용의가 있다.

만나서 첫술에 배가 부를 리는 없겠지만, 한가지씩이라도 단계별로 해결해나간다면 지금보다 관계가 좋아지면 좋아졌지 더 나빠지기야 하겠는가 하는 것쯤은 미국도 깊이 숙고해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는 아무 때나 어떤 방식으로든 마주앉아 문제를 풀어나갈 용의가 있음을 미국 측에 다시금 밝힌다.

---------------------

The historic summit is now high on the agenda between the DPRK and the U.S., and the preparations for it are being pushed forward at the final stage amid the remarkably great concern of the world.

The sincere pursuit and active efforts made by the DPRK to end the relations of hostility and distrust that have lasted for decades and build a new landmark for the improvement of the DPRK-U.S. relations have commanded unanimous sympathy and support from the public at home and abroad.

But suddenly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rump made public his official stand on May 24 to cancel the DPRK-U.S. summit that had already been made a fait accompli.


Explaining the reason for it, he said that the statement made by Vice Foreign Minister of the DPRK Choe Son Hui carried “tremendous anger and open hostility” and that it is not appropriate to hold the meeting at present, a precious one that has long been planned.

I would like to take this expression of his stand on the DPRK-U.S. summit as a decision not consistent with the desire of humankind for peace and stability in the world, to say nothing of those in the Korean peninsula.

As for the “tremendous anger and open hostility” referred to by President Trump, it is just a reaction to the unbridled remarks made by the U.S. side which has long pressed the DPRK unilaterally to scrap nuclear program ahead of the DPRK-U.S. summit.

The inglorious situation today is a vivid expression of the severity of the present status of the hostile DPRK-U.S. relations of long historical roots and the urgent necessity for the summit meeting for the improvement of the ties.

As far as the historic DPRK-U.S. summit is concerned, we have inwardly highly appreciated President Trump for having made the bold decision, which any other U.S. presidents dared not, and made efforts for such a crucial event as the summit.

His sudden and unilateral announcement to cancel the summit is something unexpected to us and we can not but feel great regret for it.

It is hard to guess the reasons. It could be that he lacked the will for the summit or he might not have felt confident. But for our part, we have exerted sincere efforts, raising hope that the historic DPRK-U.S. summit meeting and talks themselves would mark a meaningful starting point for peace and security in the region and the world and the improvement of the bilateral relations as the first step forward to settling the issue through dialogue.

We even inwardly hoped that what is called “Trump formula” would help clear both sides of their worries and comply with the requirements of our side and would be a wise way of substantial effect for settling the issue.

The chairman of the State Affairs Commission of the DPRK has also exerted all efforts for the preparations for the summit, saying that the meeting with President Trump could help make a good start.

The U.S. side’s unilateral announcement of the cancellation of the summit makes us think over if we were truly right to have made efforts for it and to have opted for the new path.

But we remain unchanged in our goal and will to do everything we could for peace and stabil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humankind, and we, broad-minded and open all the time, have the willingness to offer the U.S. side time and opportunity.

The first meeting would not solve all, but solving even one at a time in a phased way would make the relations get better rather than making them get worse. The U.S. should ponder over it.

We would like to make known to the U.S. side once again that we have the intent to sit with the U.S. side to solve problem regardless of ways at any time.

https://qz.com/1288902/full-text-north-korea-responds-to-donald-trump-canceling-his-summit-with-kim-jong-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