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064 댓글 0

조선: 모자의 나라/ Korea: A Land of Hats

뉴욕한국문화원, SUNY 스토니브룩 찰스왕센터, 코리아나 화장박물관 공동 기획


9월 10일-12월 5일

찰스왕센터, 스토니브룩 SUNY

오프닝 리셉션: 9월 10일 오후 5시

hat.jpg

1. 중요무형문화재 4호 갓일장 박창영이 재현한 흑립(왼쪽), 2. 서울시 무형문화재 제50호 관모장 박성호 재현 화관(오른쪽 위), 3. 국가무형문화재 제107호 누비장 이수자 유선희 재현 조바위(오른쪽 아래)


뉴욕한국문화원(원장 조윤증)은 9월 10일부터 12월 5일까지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학 찰스왕센터(디렉터 진진영), 한국의 코리아나 화장박물관(관장 유상옥, 유승희)과 공동으로 롱아일랜드 스토니브룩 소재 찰스왕 센터에서 조선시대에 유행했던 다양한 모자를 소개하는 전시 <조선: 모자의 나라(Korea: A Land of Hats)>를 연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의 '트래블링 코리안 아츠(Traveling Korean Arts)'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단순한 장신구의 역할을 넘어 계급, 직업, 연령, 성별 등을 상징하는 일종의 ‘사회적 코드’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조선시대의 다양한 모자를 소개하고 이들 모자가 갖는 역할과 기능, 의미에 대해 소개하는 대규모 기획전이다.


조선시대의 모자는 의복의 장식품 중 일부가 아닌 계급, 신분, 나이, 예의와 남성성과 여성성을 담은 한국인의 자존심을 상징하는 결정체였다고 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산업화와 근대화 과정은 모자 문화의 소멸을 가져왔다. 하지만, 이 전시는 일명 ‘모자의 나라’라고 불릴 정도로 독특하고 다양한 모자를 향유했던 조선의 모자 문화는 재조명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전시에는 중요무형문화재 4호 갓일장 박창영이 재현한 흑립, 백립, 주립 등과 같은 남성용 모자 10점을 비롯, 서울시 무형문화재 제50호 관모장 보유자 박성호가 재현한 남성용 모자 금관과 제관, 그리고 여성용 모자 화관과 족두리, 국가무형문화재 제107호 누비장 이수자 유선희의 여성용 모자 조바위, 남바위, 처네 등 총 30여종의 남-여성용 전통모자가 소개된다. 이와 더불어 한국의 풍속을 목판화로 남긴 영국화가 엘리자베스 키스와 프랑스화가 폴 자쿨레의 작품 29점 및 구한말 조선의 모습을 소개한 고서적과 당시 발행된 엽서 70여점도 함께 전시된다. 아울러 파리국립고등미술학교(École NationalSupérieure des Beaux-Arts, Paris)에서 미술을 전공하고, 1980년대부터 한국과 미국, 프랑스, 영국 등 국내외 다수의 전시에 참여하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홍순명 작가의 '주변인 시리즈' 18점도 소개될 예정이다.


찰스왕 센터의 진진영 관장은“지금까지 한국복식을 주제로 한 전시는 해외에서 종종 소개된 적이 있으나, 의복의 부분품 중 하나인 머리쓰개에 초점을 맞추어 하는 전시는 처음이다. 특히 이번 전시에는 전통 모자들과 함께 20세기 초 유행하고 세계적으로 소비되었던 여행 엽서에 담긴 한국 모자의 모습과 20세기 초 한국을 방문했던 화가 엘리자베스 키스와 폴 자쿨레의 판화 작품들이 함께 소개될 예정이라 여러모로 흥미로운 전시가 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전시와 연계하여 9월 9일(월) 오전에는 FIT(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의 패션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중요무형문화재 4호 갓일장 박창영 선생이 전통기법을 이용하여 갓 만드는 제작과정을 시연한다. 워크샵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조선시대 남성들의 대표적 실내용 모자인 정자, 복건, 유건을 현대적 재료를 활용하여 만들어 보게 된다.  


뉴욕한국문화원 조윤증 원장은“최근 세계적인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인 넷플릭스에서 제작한 한국 드라마 ‘킹덤’시리즈가 크게 인기를 끌면서 ‘갓’을 비롯한 한국의 모자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이 매우 높아진 상황이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K-Pop, 한식, 한국영화 등 비교적 한국의 대중문화에 익숙한 외국인들에게 한국문화의 근간인 우리의 전통문화를 소개함으로서 한국과 한국문화를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전시 개막 리셉션은 9월 10일 화요일 저녁 5시부터 7시까지 코리아나 화장박물관의 유승희 관장, 중요무형문화재 4호 갓일장 박창영 장인 및 찰스왕센터와 뉴욕한국문화원의 주요 인사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전시 관람은 무료이며 관람 시간은 평일(월-금) 09:00-20:00, 주말(토-일) 12:00-20:00이다.


2019_09_10__KoreanHatsExhibit-ver1.jpg


Korea: A Land of Hats


September 10 through December 15, 2019

Charles B. Wang Center Skylight Gallery


Hats were key items in every Korean’s wardrobe during the Choson dynasty (1392–1910). A hat was not just an article of clothing; it was an important symbol of social status and authority, as well as a badge of ceremony. No outfit was considered complete without an appropriate hat, and this custom was practiced across all ranks of Korean society, from the highest elites to the lowest merchants, from newborn baby boys to venerated old gentlemen. For at least 500 years, hats served as indicators of class, gender, occupation, and affiliation in Choson Korea. 


This exhibition highlights the rich culture of Korean hat fashion a century ago by showcasing various hats, including those that differentiated class, occupation, age, marriage status, special occasion, and season of the year. These authentic traditional Korean hats were recreated by surviving artisans, who have been designated as living persons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exhibition is complemented by prints by Paul Jacoulet (1896–1960) and Elizabeth Keith (1887–1956), as well as by early twentieth century photographs of Korea. These two travelers visited Korea at the dawn of the twentieth century and provided an interesting Western perspective into the then vibrant hat culture of Korea during that era.


Supported by the "Traveling Korean Arts" project of the Korea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 and Tourism of the Republic of Korea, this exhibition is co-organized by the Coreana Cosmetics Museum in Seoul, the Charles B. Wang Center, and the Korean Cultural Center New York. The works by Paul Jacoulet and Elizabeth Keith are on loan from the collection of Young-Dahl Song, and the photo archives on display are from the collection of Norman Thorpe.


Related Program

WORKSHOP

Korean Men's Hat-Making 

Monday, September 9, 2019 @ 11 AM

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 New York City


ART CRAWL

A Guided Tour of Campus Galleries 

Tuesday, September 10, 2019 @ 4:30 PM

Charles B. Wang Center Skylight Galle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