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



조회 수 1934 댓글 1

Museum Mile Festival 2024 

2024 뮤지엄 마일 페스티벌

6월 18일(화) 오후 6시-9시 @5애브뉴(82-110스트릿)

 

100.JPG

Museum Mile Festival 2018

 

6월 중순 화요일 저녁 맨해튼 5애브뉴의 미술관 밀집 구간 뮤지엄 마일(Museum Mile)에서 열리는 축제가 돌아온다.

 

2024년 뮤지엄 마일 페스티벌(Museum Mile Festival)은 6월 18일 오후 6시부터 9시까지 뮤지엄 마일(82스트릿-110스트릿, 5애브뉴)의 미술관 8곳을 무료로 개방한다. 교통이 통제된 5애브뉴 28개 블럭에서 음악, 댄스, 퍼포먼스, 마술, 낙서, 페이스페인팅 등 다양한 행사가 마련된다.

 

 

090.JPG

Museum Mile Festival 2018

 

2024 뮤지엄 마일 축제는 메트로폴리탄뮤지엄(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노이에 갈러리(Neue Galerie New York), 구겐하임뮤지엄(Solomon R. Guggenheim Museum), 쿠퍼휴이트 스미소니언디자인뮤지엄(Cooper Hewitt, Smithsonian Design Museum), 쥬이시뮤지엄(The Jewish Museum), 뉴욕시박물관(Museum of the City of New York), 그리고 엘 무세오 델 바리오(El Museo del Barrio), 그리고 110스트릿의 아프리카 미술관(The Africa Center)이 무료로 개방된다.  

 

뮤지엄 마일 페스티벌에서 볼 수 있는 특별전을 소개한다. 북쪽에서부터 남쪽으로 진행한다. 

 

 

# 아프리카 센터 The Africa Center@110스트릿

 

africa.jpg

Asmaa Jama and Gouled Ahmed. Except this time nothing returns from the ashes, 2023. Film Still.

 

아프리카 센터는 동아프리카 미술가 아스마 자마(Asmaa Jama, 영국/소말리아)와 굴레드 아흐메드(Gouled Ahmed)의 듀오전 '현재를 제외하곤 재에서 아무것도 돌아오지 않는다(Except this time nothing returns from the ashes, 6/14-9/1)'를 연다. 2024 뮤지엄마일 페스티벌에선 아스마 자마, 칼렙 자일스(Caleb Giles), 레이단 오스만(Ladan Osman), 다나야 밴드(Danaya Band)가 아프리카의 리듬을 공연한다. 

 

퀸즈 서니사이드의 뉴욕중앙일보 인근에 위치했던 아프리카 미술관(The Museum for African Art)가 맨해튼 5애브뉴로 이전하면서 오프닝 계획이 10여년간 지연되어 마침내 공개된다. 2009년 엘시 맥케이브 톰슨(Elsie McCabe Thompson)을 인터뷰했었다. 아프리카 센터 건물은 예일대학 건축학장 로버트 A. M. 스턴이 설계했으며, 위층엔 럭셔리 콘도 115개 유니트가 자리해 있다. 

https://www.theafricacenter.org 

 

*변신 중인 아프리카 미술관 엘시 맥케이브 토마스 디렉터 인터뷰 <뉴욕중앙일보, 2009>

 

 

# 엘 무세오 델 바리오 El Museo del Barrio@105스트릿

 

amalia.jpg

Amalia Mesa-Bains: Cihuateotl with Mirror in Private Landscapes and Public Territories, 1998-2011. Mixed media installation 

 

엘 무세오 델 바리오에선 멕시코계 미국인 미술가/큐레이터/교육자 아말리아 메사-베인스 회고전 '기억의 고고학(Amalia Mesa-Bains: Archeology of Memory, 5/2-8/11)'이 열리고 있다. 아말리아 메사-베인스는 1943년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의 멕시코계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나 산호세주립대 회화과 졸업 후 동대학에서 교육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버클리 라이트인스티튜트에서 임상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의 작업은 가정의 제단을 모티프로 한 대규모 설치물을 통해 식민지 및 제국주의의 역사, 문화적 기억의 회복, 정체성 형성에서의 역할을 다루는 멕시코계 미국인 여성을 탐구해왔다.  

https://www.elmuseo.org

 

건너편 컨서바토리 가든(Conservatory Garden)에서 차분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센트럴파크 비밀의 정원 컨서바토리 가든 

 

 

# 뉴욕시 박물관 Museum of the City of New York@103스트릿

 

뉴욕시 박물관에서는 현재 뉴욕시 100년사에서 미술과 대중문화를 조명한 특별전 'This Is New York: 100 Years of the City in Art and Pop Culture'이 진행 중이다. 또한, 브롱스 출신 매니 베가(Manny Vega, 1956- )의 모자이크 벽화전 '비잔틴 벰베: 매니 베가의 뉴욕(Byzantine Bembé: New York by Manny Vega)'이 열리고 있다. 뮤지엄의 설립 100주년을 기념한 이 특별전에선 아프리카 신에서 도시 신화까지 개인과 집단을 아우르는 주제와 공동체 이야기를 엮어 베가의 시각적 스토리텔링을 탐구한다. 매니 베가는 맨해튼 이스트 할렘에서, 지하철역, 문화센터, 가게 등의 외관을 장식했으며, 푸에르토리코와 라틴계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 특히 여성을 기념한다. 

 

6월 14일부터는 1968년 미 의회에 당선된 최초의 흑인여성 셜리 치즘(Shirley Chisholm, 1924-2005)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한 특별전 '민주주의의 얼굴 변화: 셜리 치즘 100 주년(Changing the Face of Democracy: Shirley Chisholm at 100)'이 열린다. 셜리 치즘은 올 3월 뉴욕주청사에서 열린 전시회 '평등의 옹호자들: 뉴욕 여성들과 평등권 수정안(Champions of Equality: New York Women and the Equal Rights Amendment)'에 한인 줄리 석(Julie Chi-hye Suk, 석지혜) 포담대 법대 교수를 비롯, 글로리아 스타이넘,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연방대법관, 크리스탈 이스트만, 벨라 압주그, 플로린스 케네디와 함께 선정됐다. 

https://www.mcny.org 

 

*줄리 석(Julie Chi-hye Suk, 석지혜) 포담대 교수 뉴욕주 '평등의 챔피온' 7인 선정

 

 

# 쥬이시 뮤지엄 The Jewish Museum@92스트릿 

 

jewish.jpg

Ilana Savdie, Cow, 2023. Oil, acrylic, and beeswax on canvas stretched on panel.

 

쥬이시뮤지엄에선 컬러리스트 7인전 'Overflow, Afterglow: New Work in Chromatic Figuration'(5/24-9/15)이 열리고 있다. 이 전시에선 술라 베르무데즈-실버만(Sula Bermúdez-Silverman, b. 1993), 사샤 고든(Sasha Gordon, b. 1998), 사라 아식하리안(Sara Issakharian, b. 1983), 셸라 만(Chella Man, b. 1998), 일라나 사브디(Ilana Savdie, b. 1986), 오스틴 마틴 화이트(Austin Martin White, b. 1984), 그리고 로샤 야흐마이(and Rosha Yaghmai, b. 1978)의 회화, 조각, 설치작이 소개된다. 

https://thejewishmuseum.org

 

 

# 쿠퍼휴이트, 스미소니언디자인뮤지엄 Cooper Hewitt, Smithsonian Design Museum@91스트릿

 

Detail_Symbol-Sourcebook-Poster-1536x768.jpg

 

쿠퍼 휴이트에선 신호 디자인을 모은 'Give Me a Sign: The Language of Symbols'이 열리고 있다. 인간에게 지시하고, 보호하고, 즐겁게 하며, 소통하며, 연결시키는 수많은 심볼(상징)의 역사를 소개한다. 이 전시는 헨리 드레퓌스(Henry Dreyfuss)의 저서 'Symbol Sourcebook: An Authoritative Guide to International Graphic Symbols'(1972) 출간 50주년을 기념한 특별전이다. 영국의 무대 디자이너 에스 데블린(Es Devlin, b. 1971)의 'AN ATLAS OF ES DEVLIN'전도 볼 수 있다. 

https://www.cooperhewitt.org

 

 

# 구겐하임 뮤지엄 Solomon R. Guggenheim Museum

 

jenny.jpg

 

구겐하임뮤지엄에선 1990년 베니스 비엔날레 황금사자상을 수상한 개념주의 미술가 제니 홀처(Jenny Holzer, b. 1950)의 회고전 'Jenny Holzer: Light Line'(5/15-9/29)이 열리고 있다. 

https://www.guggenheim.org 

 

 

# 노이에 갤러리 Neue Galerie New York@86스트릿

 

neue.jpg

Paula Modersohn-Becker, Self-Portrait on the sixth wedding anniversary, 1906/ Diane Radycki, Paula Modersohn-Becker: The First Modern Woman Artist, 2013

 

노이에 갤러리(Neue Galerie)에서 2024년 6월 6일부터 9월 9일까지 독일 출신 표현주의 화가 파울라 모더존 베커(Paula Modersohn-Becker, 1876–1907) 회고전 '나는 나(Paula Modersohn-Becker: Ich bin Ich / I Am Me)'를 연다. 파울라 모더존 베커는 서양 미술사 최초로 누드 자화상을 그렸으며, 임신에 촛점을 맞추었다. 그녀는 오스트리아 시인 라이너 마리아 릴케(Rainer Maria Rilke, 1875-1926)와 우정을 나누다가 31세에 산후 색전증으로 요절했다. 미 최초의 모더존-베커 회고전이다.

https://www.neuegalerie.org

 

*노이에 갤러리 가이드

https://www.nyculturebeat.com/index.php?mid=Art2&document_srl=2278708

 

 

# 메트로폴리탄 뮤지엄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82스트릿

 

met-korea.jpeg

Lineages: Korean Art at The Met. Photo: Sukie Park/NYCultureBeat

 

메트로폴리탄뮤지엄의 루프가든에선 코소보 출신 조각가 페트릿 할리라야의 '아베타레(The Roof Garden Commission: Petrit Halilaj, Abetare)', 한국실에선 '계보(Lineages: Korean Art at The Met)', 할렘 르네상스 특별전 'The Harlem Renaissance and Transatlantic Modernism', 패션 특별전 '잠자는 숲속의 공주: 깨어나는 패션(Sleeping Beauties: Reawakening Fashion)' 등이 열리고 있다. 

https://www.metmuseum.org 

 

 

met.jpg

*코소보 어린이 낙서에서 메트뮤지엄 루프가든으로...페트릿 할릴라이(Petrit Halilaj) 설치작 '아베타레(Abetare)'

https://www.nyculturebeat.com/index.php?mid=Art2&document_srl=4120923

 

*계보: 메트뮤지엄의 한국미술 Lineages: Korean Art at The Met 

박수근, 김환기, 장욱진, 윤형근, 이우환, 서세옥, 서도호, 바이런 김...

https://www.nyculturebeat.com/index.php?mid=Art2&document_srl=4107624

 

*메트뮤지엄 할렘 르네상스(Harlem Renaissance)에 대하여

https://www.nyculturebeat.com/index.php?mid=Art2&document_srl=4117985

 

*피카소, 모딜리아니, 브랑쿠시를 매혹한 키클라데스 조각 메트뮤지엄 오다

https://www.nyculturebeat.com/index.php?mid=Art2&document_srl=4119714

 

 

 

 

?
  • sukie 2024.06.16 10:34
    뮤지엄 마일 축제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축제 중에는 입장료가 무료라니 반가운 소식입니다.
    6월달은 날씨가 노인이 외출하기에 좋아요. 한껏 차려입고 메트로폴리탄 뮤지엄에 가려고 마음이 들떠 있습니다. 르네상스 시대의 천재들이 그린 회화와 조각들을 감상하고, 명상에 젖어볼렵니다. 보고 감상하고, 관람하고 음미하고, 벌써부터 마음에 자유가 넘칩니다.
    유익한 정보를 주신 컬빗에 감사를 드립니다.
    -Elaine-